+ 일본에 가게 된 계기
일본영화를 보게되면서 가깝다고 느낀 일본의 우리나라와는 다른 문화, 다른 느낌이 색달랐고, 일본영화에서 더 나아가 일본드라마를 많이 접하면서 일본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느낌, 감성이 너무 좋아서 일본에 가서 직접 느껴보고 싶다고 생각되어 가게되었습니다.
+ 일본어 학습력에 대해...
- 일본어공부는 어디에서 했는지?
한국에서는 신촌의 와세다일본어학원에서 배웠습니다. 2급까지는 한국에서 따고 일본에 왔습니다. 지금은 일본 신주쿠의 라보일본어학교를 다니고 있습니다.
- 일본어연수경험이 있다면 연수기간 및 학교
일본어연수경험은 없고, 지금 일본어학교 다닌지 1년이 되었습니다.
+ 대학원 출원과정 (원서작성과 접수, 면접은 어떻게 했는지..)
원서작성은 학교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서, 원서와 함께 대학원이기 때문에 연구계획서를 같이 준비하였습니다.원서와 연구계획서를 소정의 양식에 맞추어 작성한 뒤, 직접 학교로 가서 접수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포트폴리오와 면접, 소논문 세가지 준비를 해야했습니다.
포트폴리오는 약 6개월전부터 틈나는대로 계속 수정을 반복해가면서 준비하였고, 딱히 학원은 다니지 않고 주변의 무사시노 다니는 학생들을 평소에 알아두어 한두명에서 보여주고 조언을 듣는 정도로 그쳤고, 제가 가지고 있는 실력 그대로 포트폴리오에 담았습니다. 면접과 소노문도 역시 따로 학교나 과외를 받지는 않았습니다.
소논문은 제가 다니는 라보일본어학교에서 평소에 수업이 굉장한 작문수를 요하기 때문에 자연스레일본어로 글을 쓰는것에 익숙하게 되어버린것 같습니다. 해서 시험보기전 무사시노에서 그동안 나온소논문주제를 무사시노입시센터에 부탁하여 받아서 제 나름대로 써보고, 서점에서 소논문 책들이나인터넷에서 있는 잘된예를 읽고 직접 써보기도 하면서 연습했습니다.
면접도 나름대로의 예상질문 몇개를 뽑아서 답변을 적은 종이들을 계속 가지고 다니면서 입에 익숙해질때까지 연습했습니다. 별로 한것이 없다고 느낄지도 모르지만, 어떤 좋은 학원보다 끊임없는 연습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무사시미술대학대학원의 면접 내용은?
우선 3명씩 한 팀으로 같이 들어갔습니다. 교수님은 약 9명정도 되었습니다. 포트폴리오중 가장 보여주고 싶은 작품 한가지를 프리젠테이션 하는것, 그다음, 이 학교 이 과에 지원한 동기와, 대학원이기 때문에 원하는 교수님은 있는지...
그다음 저는 전공을 가구디자인에서 공간연출로 갔기때문에 과를 바꾼 이유를 물어보았습니다.
그 다음엔 대학원에서 하고 싶은 연구를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마지막에 저는 하고싶은 말이 있다고 먼저 양해를 구하고 자기어필을 할 수 있는 준비해간 말까지 하는것으로 마쳤습니다.
+ 재학중인 학교와 학과에 대한 간단한 소개
아직 재학중이 아니지만...무사시노미술대학교는 미술전문학교로서 총 13개의 과가 있습니다.
미술학부에는 일본화, 유화, 판화, 조각, 조형이론미술사, 예술문화정책이 있고, 디자인학부에는 시각전달디자인, 공예공업디자인, 공간연출디자인, 건축, 기초디자인, 영상, 사진, 디자인정보학이 있습니다.
공간연출디자인코스입니다. 공간연출디자인코스는 크게 세가지로 나뉘어집니다. 공간구성, 필로그라피(무대연출), 패션디자인 세가지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모두 공간을 폭넓게 다루는 과입니다.
+ 무사시노대학원 수업에 대해 만족하는지?
아직...
+ 학비외에 학교에서 지출되는 비용이 있다면?
개인 작품비용이 지출됩니다.
+ 본인이 생각하는 전공수료 후 진출가능 분야
주로 방송국이나 상업공간 디자인, 패션디자인 쪽으로 많이 진출을 하고 있습니다. 공간을 다루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폭넓게 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인 것 같습니다.
+ 유학생활을 하면서 시간활용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저는 일본에 오게 된 가장 큰 목적을 대학원으로 정하고 대학원합격까지는 오로지 일본어 공부와 대학원입시에만 전념하였습니다.
아르바이트는 합격할때까지는 잠시 미뤄두었고, 어학원을 다니는 1년3개월동안은 출석 100%라는 목표를 정하였고 물론 100%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전에 일본어 학교를 갔다오고 오후에는 개인적인 일본어 공부와 포트폴리오에 시간을 보내었고가끔 일본에서 열리는 전시회나 영화관에 가서 문화를 익히기도 했습니다.
+ 대학원 수업과 병행하면서 아르바이트는 어떻게 할 계획인지?
크게 아르바이트에 시간을 할애할 순 없지만 일주일에 2~3번정도, 오후4시간~6시간정도만 할애 할 예정입니다. 우선 큰 목표는 대학원을 무사히 좋은 성적으로 졸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사시미술대학 혹은 대학원 입학 또는 미술전공으로 일본유학을 준비하는 후배에게 한 마디~
우선은 자신이 결정한 목표라면 그 한가지에 전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놀고 싶고 아르바이트하면서 돈벌어서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싶고 어학교 가기싫고....등등 여러가지 마음 다 이해합니다. 저도 똑같이 고민한 문제이니까요.
하지만 딱 1년만 참고 견디면 합격할 수 있지만, 그것을 깨버리고 소홀해진다면 1년안에 끝이났을 목표가 2~3년, 더 나아가 끝내 성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 일본인들과 같이 경쟁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자신이 외국인이라는 핸디캡을 불평만 하기보다는 자신만의 강점을 살리는 편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저는 외국인이어서 일본인의 시각과는 다른 점을 강하게 어필하였습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두가지입니다. 일본어 실력과 목표에의 강한 의지.
일본어실력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일본어학교에 소홀해지지 마세요. 출석률 100%를 위해 가기싫어도 일어나기 힘들어도 가다보면 어느순간 일본어실력이 늘고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목표에 순위를 결정하여 시간낭비 하지 말고, 성공할때까진 한국에 돌아가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하시면 분명 성공할 것 이라 생각합니다.
한국인이라는 핸디캡이 아니라 강점이라고 생각하세요~화이팅!!
저작권 : 그린일본유학 (저작권 문의 : 실장 차혜진)
그린 수속생, 회원은 스크랩을 허용합니다.
단, 영리를 추구하는 개인 혹은 회사는 무단전재, 복사를 금지합니다.
⊙ 책임에디터 : 상담메일 보내기
⊙ 홈페이지 : http://www.gajajapan.co.kr, hit:2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