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학 안내
![]() |
![]() |
![]() |
![]() |
자국에서 12년 이상의 정규교육을 받은 자 |
![]() |
![]() |
![]() |
대학의 제한을 넘어 공통으로 실시하는 시험과 대학 독자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이 있는데 무시험을 병행하는 대학도 적지 않다. |
![]() |
공통시험 : 일본어능력시험, 사비유학생 유학시험, 대학입시 센타시험(의과/치과/교육과 |
![]() |
대학독자시험 : 서류심사, 소논문(작문), 면접, 적성검사, 학력필기시험, 실기시험 |
![]() |
![]() |
![]() |
학교마다 전형시기가 다르나 대개 12월에서 그 이듬해 2월까지 한다. 출원(원서제출)에는 각 대학이 지정하고 있는 원서가 필요하다. 원서배부 시기는 대학에 따라 다르지만, 빠른 대학은 5월경부터 시작되는 대학도 있다. 원서의 입수방법도 직접 대학에 받으로 가거나 현금이나 우편소액환을 첨부해 신청하거나, 전화나 엽서로 신청하는 등 여러가지가 방법이 있다. |
![]() |
입학년도 학비 : 국립_737,000엔, 공립_836,000엔, 사립_1,000,000엔 |
![]() |
![]() |
일본에서의 편입학은 일반적이지 않다. 편입은 단기대학 졸업자 및 대학 교양과정 수료자(1-2년), 고등전문학교 3년차 수료자, 4년대학 졸업자가 학부의 2년 또는 3년에 입학하는 것이다. 전문학교 학생은 좀 다르다. 과거에는 전문학교에서 공부한 내용과 대학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전공의 연속성, 일관이 증명되면 체류자격 갱신이 인정되었으나 1997년 후반부터는 전공에 관계없이 인정을 하고 있다. 단 전문학교 졸업후 청강생이나 연구생이 되는 경우에는 어렵다. 참고로 1998년 6월 국회에서 학교 교육법이 개정되어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전문사]에 준하는 요건으로 대학에 편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은 (수업연한 2년이상, 총 수업시간수가 1,700시간 이상)의 조건을 갖춘 사람이 해당된다. 그러나 일본은 우리와 같은 의무병 제도가 없기 때문에 결원이 거의 없으며 이 때문에 모든 조건과 관계없이 편입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현재로는 국립이 33%, 공립이 7%, 사립이 21%의 소수대학에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
|
![]() |
입학전형 |
일반적으로 대학학부의 1학년 신입생으로 입학할 때의 입학시험과 같다. 필요한 서류제출과 소논문 그 외의 필기시험등을 실시한다. | |
![]() |
![]() |
특정과목을 청강하는데 수강자격이나 청강허가과목 (학점)수 등은 각 대학에 따라 다르다. 이수과목의 학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정원의 여유가 있을때만 수강이 가능하므로 해당 대학에 사전확인을 해 봐야 한다. | |
![]() |
![]() |
내용은 청강생과 거의 같지만, 이수한 과목은 학점인정이 되는 점이 청강생과 다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