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학원 안내
![]() |
대학원에는 통상 2년과정의 석사과정과, 3년간의 박사과정이 있다. 또한 5년 일괄제 박사과정, 후반 3년만의 박사과정을 두는 대학도 있다. 치·의학에서는 석사과정이 없고, 4년간의 박사과정만 있다. 석사과정은 2년이상의 과정을 수료하고, 전공과목을 30학점이상 이수해야 하며 석사논문과 최종학과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또한 박사과정은 3년 이상의 수료기관과 전공과목에서 대학원이 정한 필요학점을 취득하고, 박사논문과 최종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 |
![]() |
![]() |
![]() |
자국에서 4년제 대학 이상의 정규교육을 받은 자. |
![]() |
![]() |
![]() |
전기 2년, 후기 2년의 박사과정 |
박사 전기과정은 석사과정으로 취급되며 마스터 코스라고 부르며 박사후기과정은 닥터 코스라고도 부른다. 대학원의 박사학위를 수료한 경우에는 [과정박사]라고 부르며 대학원의 박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논문만으로 학위를 취득한 경우를 [논문박사]라고 부른다. 박사학위를 취득 못하고 도중에 대학원을 그만 둔 경우는 [만기 퇴학자]라고 부른다. 만기 퇴학자도 박사논문을 제출하면 다시 심사 및 시험을 받을 수 있으며 석사과정의 재학 연수 한도는 4년, 박사후기과정의 재학연수 한도는 통상 6년이다. | |
![]() |
5년 일괄제의 박사과정 |
5년 일괄교육의 대학원 코스는 전기 2년의 마스터코스만 수료하고 취직할 학생은 입학할 수 없으므로 충분히 숙고해야 한다. | |
![]() |
![]() |
대학원은 연구생을 거쳐 입학하는 경우와 직접 시험을 보고 입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는 언어능력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 |
![]() |
공통시험 : 일본어능력시험1급 |
![]() |
대학독자시험 : 서류심사, 전공에 관한 논문, 전공 필기시험, 외국어(영어 외), 수학(이과), 면접 등 |
![]() |
![]() |
가을학기(10월)는 늦어도 6-7월, 봄학기(4월)는 10-11월에 모집요강이 나오므로 미리 시험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대학원 중에는 2차 모집을 실시하는 곳도 많으므로 역시 미리 준비해야 한다. | |
![]() |
입학년도 학비 : 국공립_737,000엔, 사립_989,000엔~1,088,000엔 |
2년째부터는 30%정도가 감면되며, 여러가지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혜택도 많이 주어진다. | |
![]() |
![]() |
출원서류는 각 대학에 따라 다르므로 지망하는 학교의 입학원서, 학교안내서 등을 받아서 알아 볼 필요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출원에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다. | |
![]() |
입학원서 (학교 소정양식) |
![]() |
이력서 (학교 소정양식) |
![]() |
출신 대학의 연구논문과 요약 |
![]() |
출신 학교 학장 또는 총장 추천서 |
![]() |
출신 학교 학사 또는 석사수여 증명서 |
![]() |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
![]() |
외국인등록 증명서 |
![]() |
신원보증서(학교 소정양식) |
![]() |
지도교수 승낙원(추천서) |
![]() |
사진 (여권용 3.5 X 4.5) |
![]() |
![]() |
출원시에 보증인과 연락인을 필요로 하는 대학이 많다. 필요로 하는 이유는 [학비의경제적 보증을 위해] [입학 후의 재류수속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등 여러 가지 있다. 제출하는 서류에도 대학소정의 신분보증서, 서약서 만이라고 하는 대학도 있지만, 이 서류와 함께 보증인의 주민표, 재직증명서 등을 필요로 하는 대학도 있다. 단 최근의 경향으로 보증인이 아닌 연락인 만을 요구하는 대학, 일본인 학생과 같이 입학시에만 보증인을 필요로하는 대학도 증가하고 있다. |